2025. 4. 29. 23:14ㆍdaily life/malaysia
서론
말레이시아는 동남아시아에서 외국인 투자에 우호적인 환경을 제공하는 국가로, 제조, 무역, 디지털 산업 등 다양한 분야에서 기회를 제공합니다. 외국인이 말레이시아에서 사업을 시작하려면 여러 절차와 법적 요구사항을 준수해야 합니다. 이 가이드는 2025년 기준 최신 정보를 바탕으로 외국인이 말레이시아에서 사업을 설립하고 운영하는 데 필요한 주요 절차와 관련 법률을 자세히 정리한 내용입니다. 사업 유형에 따라 추가적인 요구사항이 있을 수 있으므로, 말레이시아 투자진흥청(MIDA)이나 전문 컨설턴트와 상담하는 것이 권장됩니다.
1. 사업 형태 결정
말레이시아에서 사업을 시작하기 위해 먼저 적합한 사업 구조를 선택해야 합니다. 외국인이 선택할 수 있는 주요 사업 형태는 다음과 같습니다:
(1) 유한책임회사 (Private Limited Company, Sdn Bhd)
- 설명: 가장 일반적인 사업 형태로, 외국인 투자자에게 적합합니다. 주주와 회사의 책임이 분리되어 주주는 투자 금액만큼만 책임을 집니다.
- 특징:
- 최소 1명에서 최대 50명의 주주로 구성.
- 외국인이 100% 지분을 소유할 수 있지만, 특정 산업(예: 금융, 교육, 농업)에서는 현지 파트너 또는 지분 제한이 있을 수 있음.
- 설립 요구사항:
- 최소 납입 자본금: MYR 1 (실제로는 사업 규모에 따라 더 많은 자본금 필요).
- 최소 1명의 이사(Director)가 말레이시아에 거주해야 함(말레이시아 시민권자 또는 영주권자).
- 회사 비서(Company Secretary)를 지정해야 하며, 이는 말레이시아에 등록된 전문가여야 함.
(2) 파트너십 (Partnership)
- 2명 이상의 개인 또는 법인이 공동으로 사업을 운영.
- 외국인에게는 덜 일반적이며, 모든 파트너가 무한 책임을 짐.
(3) 단독 사업체 (Sole Proprietorship)
- 개인이 단독으로 운영하는 사업.
- 외국인은 설립 불가, 말레이시아 시민권자 또는 영주권자에게만 허용.
(4) 지사 (Branch Office)
- 외국 기업이 말레이시아에서 지사를 설립.
- 모회사와 동일한 법적 주체로, 모회사의 책임이 연장됨.
- 특정 프로젝트 또는 계약 기반 사업에 적합.
- 설립 요구사항:
- 말레이시아 기업위원회(SSM) 등록.
- 모회사 관련 서류(정관, 재무제표 등) 제출.
(5) 대표 사무소 (Representative Office)
- 시장 조사나 연락 업무를 위한 사무소.
- 직접적인 수익 창출 활동 불가, 모회사 지원 역할에 한정.
2. 사업 등록 절차
말레이시아에서 사업을 시작하려면 다음 단계를 따라야 합니다:
(1) 회사명 등록
- SSM에 회사명을 등록.
- 회사명은 고유해야 하며, 기존에 등록된 이름과 유사하거나 민감한 단어를 포함해서는 안 됨.
- 신청은 SSM 온라인 포털(MyCoID)을 통해 가능, 승인은 보통 1~3일 소요.
(2) 회사 설립 신청
- SSM에 다음 서류를 제출:
- 회사 정관(Memorandum and Articles of Association).
- 주주 및 이사 정보.
- 회사 비서 지정 확인서.
- 등록 사무소 주소.
- 설립 비용: 약 MYR 1,000~3,000 (회사 규모 및 서비스에 따라 다름).
(3) 은행 계좌 개설
- 말레이시아 내 은행에서 법인 계좌 개설.
- 필요 서류: 회사 등록 증명서, 이사 및 주주 신분증, SSM 등록 서류 등.
- HSBC, Maybank, CIMB 등 외국인 친화적인 은행 추천.
(4) 세금 등록
- 말레이시아 내국세청(IRB)에 세금 등록.
- 법인세: 일반적으로 24%, 소규모 기업은 17% 적용 가능.
- GST/SST(판매 및 서비스세): 특정 상품 및 서비스에 적용, 등록 여부는 매출액에 따라 결정.
- 직원 고용 시, 소득세 원천징수 및 사회보장기금(SOCSO) 등록 필요.
(5) 사업 허가 및 라이선스
- 사업 유형에 따라 추가 허가 또는 라이선스 필요:
- 제조업: MIDA에서 제조 라이선스 신청.
- 무역업: 수출입 라이선스(관세청).
- 서비스업: 지방 당국의 허가(예: 레스토랑, 호텔).
- 특정 산업에서 현지 파트너와의 합작(Joint Venture) 또는 최소 지분 요구사항 준수 필요.
3. 비자 및 취업 허가
외국인이 말레이시아에서 사업을 운영하려면 적절한 비자와 취업 허가가 필요합니다. 2025년 기준 주요 옵션은 다음과 같습니다:
투자자 패스 (Investor Pass) (2025년 4월 1일부터 시행)
- 설명: 외국 투자자와 비즈니스 방문자를 위해 2025년 4월 1일부터 도입된 비자. 투자 관리 목적으로 설계되었으며, 일하는 것은 허용되지 않음.
- 특징:
- 6개월 체류 허용, 추가 6개월 연장 가능.
- 다중입국 비자(MEV) 포함으로 유연한 여행 가능.
- 신청은 Xpats Gateway를 통해 온라인으로 진행, 처리 기간은 약 5일.
- 적합 대상: 새로운 투자자 또는 기존 투자자 중 MIDA와 같은 투자 기관을 통해 투자하는 경우.
- 제한: 동반 가족 비자 신청 불가.
취업 비자 (Employment Pass, EP)
- 설명: 사업 운영에 직접 참여하거나 회사에서 일하는 외국인을 위한 비자.
- 요구사항:
- 최소 월급 MYR 5,000~10,000 (직책에 따라 다름).
- 관련 학위 또는 경력 증명.
- 말레이시아 내 고용주(자신의 회사 포함)의 후원 필요.
- 신청 절차:
- 말레이시아 이민국 또는 ESD를 통해 신청.
- 처리 기간: 약 1~3개월.
- 유형:
- EP Category I: 고소득 전문가, 갱신 가능.
- EP Category II/III: 중급 전문가, 제한적 갱신.
MM2H (Malaysia My Second Home)
- 설명: 은퇴자 또는 장기 체류를 원하는 외국인을 위한 비자 프로그램. 사업 운영에는 직접 적합하지 않지만, 투자 조건 충족 시 유리.
- 요구사항:
- 50세 미만: MYR 500,000 이상 예금 증명.
- 50세 이상: MYR 350,000 이상 예금 증명.
- 최소 월 소득 MYR 40,000.
- 특징: 10년 다중입국 비자 제공, 일하는 것은 제한됨.
동반 가족 비자 (Dependant Pass)
- EP 소지자의 배우자와 18세 미만 자녀에게 발급.
- 말레이시아 내 체류 및 교육 가능.
4. 주요 법률 및 규제
말레이시아에서 사업을 운영할 때 준수해야 할 주요 법률은 다음과 같습니다:
법률설명
회사법 2016 (Companies Act 2016) | 회사 설립, 운영, 주주 및 이사 책임 규정. 외국인 투자자는 SSM에 등록된 회사를 통해 사업 운영. |
산업조정법 1975 (Industrial Coordination Act 1975) | 자본금 MYR 2,500,000 이상 또는 75명 이상 직원 고용 시 MIDA의 제조 라이선스 필요. |
고용법 1955 (Employment Act 1955) | 근로 조건, 초과 근무, 해고 등 규정. 최저임금: 2025년 기준 MYR 1,500/월. |
세법 | 법인세(24%, 소규모 기업 17%), SST 준수. 한국-말레이시아 이중과세방지협정(DTA) 활용 가능. |
외국인 투자 규제 | 금융, 통신, 에너지 등 특정 산업에서 외국인 지분 49% 이하 제한 가능. |
5. 외국인 투자자를 위한 인센티브
말레이시아 정부는 외국인 투자를 유치하기 위해 다양한 인센티브를 제공합니다:
- 세제 혜택:
- Pioneer Status: 특정 산업에서 5~10년간 법인세 면제 또는 감면.
- Investment Tax Allowance: 자본 지출에 대한 세금 공제.
- 특별 경제 구역:
- Iskandar Malaysia, East Coast Economic Region(ECER) 등에서 추가 혜택.
- 수출 중심 기업:
- 수출 비율이 높은 기업은 추가 세제 혜택 가능.
- 2025년 새로운 인센티브:
- 조호르-싱가포르 특별경제구역(JS-SEZ): 조호르 지역의 경제 활성화 및 새로운 사업 기회 제공 (ASEAN Briefing).
- Forest City Single Family Office Scheme: 외국 및 말레이시아 가족의 자산 관리 세제 혜택.
6. 추가 고려사항
- 문화적 이해: 말레이시아는 다인종 국가(말레이인, 중국인, 인도인)로, 이슬람 문화와 관습을 존중해야 합니다. 예: 라마단 기간 동안 직원 배려 필요.
- 언어: 공식 언어는 말레이어지만, 영어가 비즈니스에서 널리 사용됨.
- 네트워크: MIDA, MATRADE, 현지 상공회의소와 협력하면 시장 진입 용이.
- 디지털 마케팅: 인터넷 보급률 89.6%로, SNS(페이스북, 인스타그램 등) 마케팅 효과적.
- 신규 개발 지역: 2025년 조호르-싱가포르 특별경제구역(JS-SEZ) 설립으로 새로운 사업 기회 제공.
7. 추천 자료 및 기관
기관설명연락처/웹사이트
말레이시아 투자진흥청(MIDA) | 외국인 투자 가이드라인, 라이선스 신청 지원 | www.mida.gov.my |
말레이시아 기업위원회(SSM) | 회사 등록 및 법적 절차 | www.ssm.com.my |
주한 말레이시아 대사관 | 비자 및 입국 절차 문의 | +82-2-2077-8600, mwseoul@kln.gov.my |
PDS Consulting | 말레이시아 시장 진출 컨설팅 | harry@pdsconsulting.com.my |
Expatriate Services Division (ESD) | 비자 및 투자자 패스 정보 | https://esd.imi.gov.my/ |
8. 주의사항
- 입국 및 비자: 한국 국적자는 90일 무사증 입국 가능하나, 사업 목적의 장기 체류는 비자 신청 필수.
- 사기 주의: 국제 송금 사기(예: Western Union)나 위조 계좌 사기가 빈번하므로 계약 시 신중해야 함.
- 지역별 규제: 사바(Sabah)와 사라왁(Sarawak)은 별도의 이민 및 사업 규제 적용.
결론
말레이시아는 동남아시아에서 외국인 투자에 우호적인 환경을 제공하며, 특히 제조, 무역, 디지털 산업에서 기회가 많습니다. 2025년에는 새로운 비자 정책(예: Investor Pass)과 투자 인센티브(예: JS-SEZ, Forest City Single Family Office Scheme)가 도입되어 더욱 매력적인 투자 환경을 조성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복잡한 비자 절차, 산업별 규제, 현지 파트너 요구사항 등을 사전에 철저히 조사해야 합니다. MIDA와 SSM을 통해 최신 정보를 확인하고, 필요 시 현지 법률 및 컨설팅 전문가를 활용하는 것이 성공적인 사업 설립의 핵심입니다.
'daily life > malaysia'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말레이시아 취업, EPF (4) | 2025.04.27 |
---|---|
2025 말레이시아 라마단 (3) | 2025.03.23 |
2025년 말레이시아 공휴일 #말레이시아 이민 #말레이시아 공휴일 #말레이시아 유학 (2) | 2025.03.23 |
외국인이 말레이시아에서 부동산을 구매하기 위해선? #말레이시아 이민 #해외 이민 #말레이시아 부동산 (1) | 2025.03.20 |
말레이시아 유학 정보 #조기 유학 #영어 유학 #동남아 유학 (3) | 2025.03.11 |